임금은 왜 외자 이름을 많이 사용할까?

조선왕조의 계보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맨 앞글자만 따서 노래 부르듯이 암기하기도 하는데, 이건 임금의 이름이 아니라 묘호(廟號)라고 합니다.

묘호는 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칭송하고자 붙인 호칭이고, 위의 표에서 묘호 옆에 있는 것이 진짜 이름입니다. 그런데 임금의 이름들을 살펴보면 뭔가 의아합니다. 왜 대부분 외자 이름을 사용하는 걸까요?

임금은 군주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 통치자입니다. 절대 권력을 지녔기에 임금의 이름을 함부로 입에 올리는 것은 매우 무례한 행동으로 봤고, 임금과 같은 이름을 쓰는 것은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도 봤습니다.

이와 같은 풍속을 기휘(忌諱) 또는 피휘(避諱)라고 하는데, 휘(諱)로 통칭해 설명을 이어가보면 임금의 이름은 입에 올리는 것 외에도 쓰는 것조차 삼갔습니다. 문제는 존재하는 글자를 못 쓰게하면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고, 평소 자주 사용하는 글자라면 더욱 그럴 겁니다.

임금은 이런 문제를 나름대로 배려해준다는 차원에서 외자 이름을 사용했고, 외자 이름도 잘 사용하지 않는 어려운 한자로 했습니다.

여기까지 주제의 의문은 해결했는데, 이렇게 한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획의 일부를 생략해서 쓰거나 뜻이 통할 수 있는 다른 글자로 대체해서 썼습니다.

그런데 조선시대 임금의 이름 중에는 외자가 아닌 임금도 있습니다.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요? 일단 확실히 짚고 넘어갈 것은 즉위 후에 외자로 바꾼 왕이 꽤 있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태종 이방원과 단종 이홍위를 제외한 모든 왕의 이름은 외자라고 봐야 하는데, 태조 이성계는 즉위 후 이름을 이단(李旦)으로 개명했고, 정종 이방과는 이경(李曔)으로, 고종 이재황은 이희(李㷩)로 개명했습니다.

보통은 왕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적장자(정실 부인이 낳은 맏아들)를 미리 어려운 한자의 외자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았으나 적장자가 왕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기에 즉위 후 외자로 개명하는 경우가 있는 겁니다.

각설하고, 태종과 단종이 끝까지 안 바꾼 이유를 살펴보면 태종은 자신의 의지로 즉위 전부터 사용하던 이름을 계속 썼을 뿐입니다. 대신 자신의 이름을 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

단종 이홍위의 경우 그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3년 정도만 왕위에 있었고, 왕권을 행사하기 어려울 정도로 왕권이 취약하고 어렸을 때이므로 논할 겨를도 없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외에도 단명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런 휘 풍습은 임금의 이름 외에도 존경하는 사람이나 현자의 이름자와 호에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역 대구의 한자는 원래 대구(大丘)였는데, 구(丘)자가 공자(본명 ‘공구(孔丘)’) 이름의 같다는 이유로 大邱로 바꾸어 불렀습니다.

또한, 가휘(家諱, 또는 사휘)라고 해서 자기 부모나 조상의 이름이 포함된 관직명이 있으면 관직을 거부하거나 아예 과거시험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합니다.

휘 풍습은 알게 모르게 현대인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부를 때 이름으로 부르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은 없으나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것에는 많이 불편해합니다.

아예 대신해 부를 수 있는 호칭으로 부르는 것 등이 휘 풍습의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임금은 왜 외자 이름을 많이 사용하는 걸까?